Digital and analog
“ Connecting the former generation and the next generation is what a designer should remember.”
While I was working on emotive project, I thought about objects that has feelings. These days when everything is digitalized and simplified, I was concerned of what could product designers design in the future. Also the book ‘The revenge of Analog’ influenced me. For hobby I used take pictures with my film camera. It is not from my generation but I feel emotions from the bulky buttons and sounds. It was fun using it. I thought human will always come back to analog products and will always miss them. However, after I bought i pad pro and tasted the convenience of it, I felt lazy using analog products. Although they were comfortable, I felt a sense of emptiness. Digitalization has brought a lot of benefits but at the same time it has taken away lot of emotions and feelings around us. Can a metal box full of 0 and 1 inside make our life abundant? Of course design is to bring convenience to life but it also has to bring us abundance. I consider good design is to make something that brings impressions. In that sense digital products should have a sense of analog feelings into it. It is important not to lose emotions. I think the role of product designer is to find the balance between analog and digital products. Not just mimicking the form or function but giving feelings into the product. And connecting the former generation and next generation is what a designer should never forget.
이모티브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감정이 담겨있는 사물들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모든 것이 단순화되고 디지털화되어가는 요즘 세상에서 제품디자이너들은 무엇을 디자인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되었습니다. 예전 아날로그의 역습이라는 책을 읽고 난 후 아날로그 제품들에 대한 애착과 믿음이 생겼습니다. 실제로 취미로 아날로그 카메라로 사진을 찍기도 했습니다. 우리 세대(y세대)가 쓰던 물건은 아니었지만 카메라에 달려있는 똑딱이 버튼에서 나오는 소리와 촉감이 흐뭇함과 재미를 주곤 했습니다. 그렇게 저는 디지털화와 단순함의 끝에서 사람들은 다시 버튼과 감촉을 그리워할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요즘 아이패드를 쓰면서 디지털의 편리함을 맛본 후로는 제 주변 사물들에 나태해짐을 느꼈습니다. 편리하지만 이러한 만능전자기기들이 우리 생활에 공허함을 가져온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디자인이란 편리함을 넘어서 우리 주변을 풍부하게 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좋은 디자인이란 재미난 생각과 흐뭇함을 가져오는 것 아닐까요? 그런 의미에서 현재 제품 디자이너의 역할은 디지털화되어가는 물건들에 숨을 불어넣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단순히 옛 형태들을 붙이는 것이 아닌 아날로그가 우리에게 감성을 전달하는 방법을 차용하는 것입니다. 결국 이모티브 프로젝트도 아날로그의 연장선이라 생각합니다. 디지털과 아날로그 사이에서의 균형을 찾는 것, 다음 세대에게 이전 세대의 감성을 전달하고 그것을 잃지 않게 하는 것이 디자이너의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Project name Digital and analog
Date Bringing back the emotions to the product
Client Thinking
Previous Project Spatial history and power
Next Project C.M.F